혈압 낮추는 생활습관 7가지 (DASH식, 저나트륨, 걷기·수면 루틴)
혈압 관리는 약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. 나트륨 2,000mg(소금 5g) 이하 식사, 주 150분 유산소, 체중 5~10% 감량, 숙면·스트레스 관리를 함께 실천하면 수축기/이완기 혈압이 유의미하게 낮아질 수 있습니다. 아래 7가지는 오늘부터 적용 가능한 실전 팁입니다.
1. 같은 시간에 가정혈압 재기(기록·평균)
아침 기상 직후와 저녁 등 매일 같은 시간에 2회 측정 후 평균을 기록하세요. 상완형 자동 혈압계 + 올바른 자세가 핵심입니다.
2. 나트륨 2,000mg 이하 + DASH식 기본
나트륨 2,000mg/일(≈ 소금 5g)을 목표로 국물 줄이기, 가공식품 라벨 확인이 기본입니다. 과일·채소·통곡·저지방 유제품을 늘리는 DASH 식단이 도움이 됩니다. 신장질환이 있다면 칼륨 과잉을 피하고 전문의와 상의하세요.
| 항목 | 지침 | 실천 팁 |
|---|---|---|
| 소금(나트륨) | 나트륨 ≤ 2,000mg/일 | 국물 덜 먹기, 라벨의 나트륨(g) 확인 |
| DASH | 채소·과일·통곡 늘리기 | 반찬 1개→채소 1개 대체 |
| 조미 | 짠맛 대체 | 허브·후추·레몬 활용 |
3. 유산소 주 150분 + 가벼운 근력
빠르게 걷기·자전거 등 중등도 유산소를 주 150분(하루 30분×주 5일) 권장. 체중 변화와 무관하게 운동 자체만으로도 수축기·이완기 혈압이 각각 약 5mmHg 낮아질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.
4. 체중 5~10% 감량(허리둘레 함께)
과체중/비만이라면 체중의 5~10%만 줄여도 혈압 개선 폭이 커집니다. 허리둘레(복부지방)도 함께 줄이는 게 중요합니다.
5. 절주·금주, 카페인 타이밍 조절
알코올은 혈압 상승과 연관성이 큽니다. 가능하면 절주/금주, 최소한 무주일 2일 확보. 카페인은 개인 반응 차가 있지만 측정 전과 저녁에는 피하세요.
6. 스트레스/호흡/명상 루틴
4-7-8 호흡·짧은 명상·요가 등 이완 루틴을 매일 5~10분. 부교감신경 활성화로 심박·혈압 안정에 도움됩니다.
7. 7–8시간 숙면(수면 위생 체크)
취침·기상 시각 고정, 침실은 어둡고 서늘하게. 늦은 오후 카페인/늦은 저녁 과식·과음은 피하세요. 코골이/수면무호흡 의심 시 검사를 고려하세요.
주간 실행 계획표
| 요일 | 유산소 | 근력 | 식단 포인트 | 수면 |
|---|---|---|---|---|
| 월 | 걷기 30′ | 밴드 10′ | 국물 절반, 채소 2접시 | 23:00 취침 |
| 화 | 자전거 30′ | 하체 10′ | 가공식품 X | 카페인 14시 이전 |
| 수 | 걷기 인터벌 30′ | 상체 10′ | 과일 1회 추가 | 23:00 취침 |
| 목 | 걷기 30′ | 코어 10′ | 저나트륨 간장 | 디지털 디톡스 1h |
| 금 | 자전거 30′ | 전신 10′ | 튀김·패스트푸드 X | 23:00 취침 |
| 토 | 가벼운 하이킹 40′ | 스트레칭 10′ | 외식 시 소스 별도 | 술은 소량/금주 |
| 일 | 휴식·산책 20′ | 요가 10′ | DASH 한 끼 | 수면 리셋 |
기준일: 2025-09-23





